반응형
2025년 6월 현재,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려는 움직임과 이에 대한 미국의 대응은 중동 정세뿐 아니라 글로벌 금융 시장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.
🔥 1.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시도
배경:
- 이란은 최근 미국의 제재 강화, 이스라엘과의 긴장 고조, 그리고 레바논·예멘을 포함한 친이란 세력의 군사 충돌 이후 호르무즈 해협에서 군사 훈련 및 위협성 활동을 강화함.
- 호르무즈 해협은 세계 원유의 약 20%가 통과하는 전략적 요충지로, 봉쇄는 글로벌 원유 공급에 큰 충격을 줄 수 있음.
현재 상황:
- 이란 해군과 혁명수비대는 일부 상선을 나포하거나 감시하면서 “미국 및 그 동맹국 선박의 통행을 제한하겠다”는 의사 표현.
- 완전한 봉쇄는 아니지만, 부분적 통제와 위협이 진행 중.
🦅 2. 미국의 대응
군사적 반응:
- 미 국방부는 항공모함 전단과 해상 순양함, 무인정찰기 등 파견.
- "항행의 자유 작전" 재개, 동맹국과의 합동 해군 작전 확대.
- 중동 내 미군 기지 경계 강화.
정치·외교적 대응:
- 국제사회와 공조해 이란의 행위 규탄.
- G7 회담 및 UN 안보리 긴급 회의 요청.
📉 3. 글로벌 경제와 금융 시장 반응
🛢️ 원유시장:
- 브렌트유와 WTI 모두 2 ~ 3% 이상 급등.
- 시장에서는 100달러 돌파 가능성도 거론 중 --> 100달러 돌파시 미국 물가 5% 상승 예상
비트코인 (BTC) 시세
- 현재 가격: $101,224
- 전일 대비 소폭 하락(-0.0126%)
- 당일 고점 약 $102,910, 저점 약 $98,286
— 아직 주요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$10만 선을 견고히 유지 중입니다.
② 코스피 (KOSPI)
- 최근 종가 기준: 3,007 포인트
- 당일 장중 가격대: 약 2,972 ~ 3,010
- 연초 대비 상승률: 약 24–26%, 52주 최고치는 3,022.06
- 기술적 지표: 단기 강세 모멘텀 우세, 이동평균선 상향 흐름
이란의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와 미국의 긴장 속에서 WTI와 브렌트유는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 유가가 오르면 물가에도 시차를 두고 반영하기 때문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. 아직 비트코인과 코스피는 견고하게 방어중입니다. 이스라엘과 이란의 중동분쟁이 잘 마무리 되어서 경제에도 활력이 돌기를 바랍니다.
'경제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속보]이스라엘-이란 휴전?(feat.트럼프) (16) | 2025.06.24 |
---|---|
원화스테이블코인 도입과 카카오페이 상승 (13) | 2025.06.24 |
서울아파트2025년 이후 공급물량 (16) | 2025.06.23 |
이재명 정부 첫 추경 의결(feat.30조원 규모) (14) | 2025.06.20 |
최근 5년간 자산별 수익률 순위 (32) | 2025.06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