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이야기

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와 미국의 대응, 그리고 경제상황

에코파이 2025. 6. 23. 14:00
반응형

2025년 6월 현재,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려는 움직임과 이에 대한 미국의 대응은 중동 정세뿐 아니라 글로벌 금융 시장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. 


🔥 1.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시도

배경:

  • 이란은 최근 미국의 제재 강화, 이스라엘과의 긴장 고조, 그리고 레바논·예멘을 포함한 친이란 세력의 군사 충돌 이후 호르무즈 해협에서 군사 훈련 및 위협성 활동을 강화함.
  • 호르무즈 해협은 세계 원유의 약 20%가 통과하는 전략적 요충지로, 봉쇄는 글로벌 원유 공급에 큰 충격을 줄 수 있음.

현재 상황:

  • 이란 해군과 혁명수비대는 일부 상선을 나포하거나 감시하면서 “미국 및 그 동맹국 선박의 통행을 제한하겠다”는 의사 표현.
  • 완전한 봉쇄는 아니지만, 부분적 통제와 위협이 진행 중.

🦅 2. 미국의 대응

군사적 반응:

  • 미 국방부는 항공모함 전단과 해상 순양함, 무인정찰기 등 파견.
  • "항행의 자유 작전" 재개, 동맹국과의 합동 해군 작전 확대.
  • 중동 내 미군 기지 경계 강화.

정치·외교적 대응:

  • 국제사회와 공조해 이란의 행위 규탄.
  • G7 회담UN 안보리 긴급 회의 요청.

📉 3. 글로벌 경제와 금융 시장 반응

🛢️ 원유시장:

  • 브렌트유와 WTI 모두 2 ~ 3% 이상 급등.
  • 시장에서는 100달러 돌파 가능성도 거론 중 --> 100달러 돌파시 미국 물가 5% 상승 예상

비트코인 (BTC) 시세

  • 현재 가격: $101,224
  • 전일 대비 소폭 하락(-0.0126%)
  • 당일 고점 약 $102,910, 저점 약 $98,286
    — 아직 주요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$10만 선을 견고히 유지 중입니다.

② 코스피 (KOSPI)

  • 최근 종가 기준: 3,007 포인트 
  • 당일 장중 가격대: 약 2,972 ~ 3,010
  • 연초 대비 상승률: 약 24–26%, 52주 최고치는 3,022.06
  • 기술적 지표: 단기 강세 모멘텀 우세, 이동평균선 상향 흐름

 

이란의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와 미국의 긴장 속에서 WTI와 브렌트유는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 유가가 오르면 물가에도 시차를 두고 반영하기 때문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. 아직 비트코인과 코스피는 견고하게 방어중입니다. 이스라엘과 이란의 중동분쟁이 잘 마무리 되어서 경제에도 활력이 돌기를 바랍니다.